스킨을 마음대로 바꾸거나, 기능을 마음대로 추가하는 (물론 능력이 어느정도 디자인이나 프로그램을 이해하는 사람에 한해서지만...) 등의 설치형 블로그가 가지는 여러가지 장점이 있지만 다양한 프로그램 중에 굳이 태터툴즈를 고집하고 있는 이유는 RSS-Reader를 내장하고 있어, 다른 블로그의 최근 포스팅을 아주 손쉽게 볼 수 있다는 장점에서 이다. 물론 여러가지 RSS-Reader가 있고, 웹을 통해 서비스 하는 프로그램도 다양하다. 하지만 회원가입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 때문에 태터툴즈가 내장하고 있는 RSS-Reader를 사용하고 있다.
설치형 블로그가 가지는 또 하나의 특징이라면 다수의 사용자들에 의해서 프로그램의 버그가 수정이 되고, 또 필요한 경우 다음 프로그램 버전 업데이트에서 제작자가 반영을 하기도 한다. 이런 프로그램 업데이트가 여러 번 진행되는 동안, 오랫동안 고민을 하고 꼭 필요한 경우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고 나름대로 내가 수정한 부분들을 다시 손보는 과정을 거쳐오면서 지금의 블로그로 발전(?) 해 왔다.
지금 또 한번의 고민에 서 있다. 태터툴즈가 이번에 UTF-8 캐릭터 셋을 지원하는 새로운 버전을 내놓았다. 그로 인해 많은 태터툴즈 사용자들이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면서 UTF-8 방식을 지원하지 못하는 내 블로그 RSS-Reader에서 외계어 비슷하게 보이는 글들이 늘고 있다. 나도 적당한 시기를 눈치 보고 있지만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하고 여러 가지 기능을 추가하는 작업이 수월하지만은 않기에 기다리고 있는 것이다.
“UTF-8”은 유니코드로 세계 어디에서나 내 블로그를 볼 수 있게 한다는 의미를 가진다. 그래서 혹시 지금 포털에서 서비스 하고 있는 블로그들은 과연 UTF-8을 지원하고 있을까? 궁금해졌다.
표준협회의 표준을 지킨다는 다음도 아직 지원을 안하고 있고, 이웃 블로그의 좋은 정보를 쉽게 퍼갈 수 있게 한 네이버 펌로그도 아직은 UTF-8으로 RSS를 지원하고 있지는 않다. 지금 UTF-8을 지원하는 블로그는 야후와 이글루스뿐인 것 같다. 뭐 장기적으로 볼 때는 다른 포털들도 바꾸지 않을까 생각한다. 하지만 그 시기가 언제가 될까?
지금 나는 내 블로그의 문자 코드를 변경하는 것이 왜 필요한가 하는 문제에 관해서 고민중이다. 그리고 머지않아 클라이언트 중에 이 비슷한 질문을 나에게 던져온다면 그들에게 어떤 의견을 전해야 할까 하는 고민을 함께 하고 있다. 이런 고민은 주말까지 좀 더 해보고, 느닷없는 충동이 느껴지면, 태터툴즈 블로그 업그레이드에 주말 중 하루를 다 써버릴지도 모를 일이다.